본문 바로가기
지금 캐나다는

캐나다 이민의 의미 모두가 바라는 종착지

by cnpapa 2022. 3. 19.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캐나나파파입니다.

"이민" 자기 나라를 떠나 이주하는 일, 1년 이상 떠나 다른 나라에 머무는 일, 타국에 터를 잡는 행위 등을

일컫는 단어에요. 

 

본인에 위해/가족에 의해/직장에 의해 등 여러 이유로 인해 이민을 하거나 역이민을 하실거에요.

대한민국은 단일민족이고, 지형적 특성상 외국인의 육로이동이 어렵기 때문에 

이해하기 힘든 부분도 많지요.

 

이민은 본인의 필요에 의해서 이뤄지는 법적인 절차이고요. 나라에서 노동력이나 국가성장의 필요에 의해

적극적으로 이민을 수용하는 나라들이 있었고, 현재도 활발한 국가들이 있습니다.

 

아직까지 경제대국으로 자리잡고 있는 미국이 서부개척를 열면서 이민자에게 자국에 살 수 있는 권리를 

제공해주었죠. 이 당시에는 더 좋은 나라에 산다기보다는 돈을 더 많이 벌 수 있는 기회로 여긴

이주자들이 많았고요. 이로 인해 미국은 경제대국이 되었고, 다양한 문화와 인종이 현존하는 나라로

성장하게 된 배경이네요. 

 

 

 

 

 

 

자국민으로 노동력을 대체할 수 있고, 일부 고학력자들에게는 이민의 문이 열려있지만,

예전만큼 쉽게 취업비자를 받거나 영주권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줄어들고 있는 현실이네요.

 

이에 반해 캐나다는 아직 이민의 문이 많이 열려있어요.

우선 지형적 특성으로 땅은 넓지만, 경제력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노동력을 많이 필요로 하는 나라에요.

지하자원 보유량도 세계에서 손 꼽히는 나라여서, 앞으로 캐나다의 인구계획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 같네요.

 

 

 

 

캐나다의 영토는 세계2위, 인구는 우리 나라의 약 70-80% 수준이며

가까운 미국과 같은 북아메리카 대륙에 있으면서, 같은과 다름이 공존하는 나라이기도 하네요.

나라마다 체제의 차이가 있으니, 이민을 꿈꾸는 이들에게는 현재 환경과 다른 경험을 원하는 부분이기도 하겠네요.

 

 

 

 

 

10년 후, 20년 후 대한민국도 이민이라는 것이 활발해질까요? 인구 약 5천만명, GDP세계10위 강국이 되었지만,

인구감소세가 세계최고인 대한민국, 국가의 행정을 책임지시는 분들의 계획은 무엇일까요?

우리 특유의 제조업은 노동력이 기본인 되는 산업인데, 첨단산업 개발로 이를 다 보완할 수 있을지요?

 

이민자를 늘린다고 하면, 대한민국 문화정체성이 흔들리는 것은 아닐지도요.

 

우리나라 특유의 빠름과 편리함이 쇠퇴와 노후화로 변화하는 것은 아닌지 고민해보는 시간입니다.

 

이민/이주가 답은 아닙니다.

 

하지만 한 평생 한 나라에 사는 인생보다, 다양한 경험을 해보는 것을 공유합니다.

 

앞으로 캐나다이민법이나, 취업에 관한 방법들도 나누는 기회를 가져보겠습니다.

 

 

#캐나다 #이민 #캐나다이민 #캐나다취업 #캐나다파파

 

 

 

728x90
반응형